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3

발리딕(Validic) - 미국 ㅇ (회사개요) 2010년 설립된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 소재 디지털 건강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헬스케어 데이터 전문 플랫폼 기업 - 발리딕은 530개 이상의 고유한 장치, 5백만 명의 월간 활성 사용자, 여러 장치 및 워크플로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의료 기관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의 진화하는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기업으로 52개국 2억명이 넘는 고객들에게 서비스 제공 * 2021년 현재 투자 규모는 초기투자금, Series A와 Series B 투자금을 합쳐 $18.4M(약 220억원) ㅇ (사업모델) 환자와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과 디바이스에서 얻어진 개인 건강정보를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에서 수집 및 통합하여, 고객사인 병원, 보험사, 제약사, 헬스케어.. 2025. 4. 21.
디지미(Digi.me) - 영국 ㅇ (회사개요) 2009년 설립된 영국 소재 개인데이터 저장소 운영 업체 - 디지미는 2009년에 설립되었으며, 영국 소재의 개인데이터 저장소(Personal Data Store, PDS)를 운영하고 있으며 직원은 약 56명 * 자산규모는 2015년 1.0백만파운드(약 15억원)에서 2018년 7.4백만파운드(약 117억원)로 성장 * 2019년 현재 투자 규모는 초기투자금 1.2백만파운드와 Series A 투자 6.1백만 파운드를 합쳐 7.3백만파운드(약 115억원) ㅇ (사업모델) 다수의 기관들에 흩어져 있는 개인정보를 한 곳에 수집한 뒤 필요한 정보를 건강·금융 등 관련 서비스 회사들에게 제공 - 디지미는 흩어져 있는 개인정보를 개인들이 스스로 한 곳의 저장소에 모아 통합적으로 관리 및 활용할.. 2025. 4. 21.
해외 보건의료 마이데이터 활용 사례 □ 해외 활용 사례 요약 ㅇ 해외의 헬스케어 기업 및 병원 등은 보건의료 데이터를 ①보건의료 마이데이터 수집/저장/제공, ②건강관리, ③고위험 환자 사전예측, ④건강정보 기반 환자-의사 매칭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음. [보건의료 마이데이터 활용 사례]구분기업명활용사례보건의료마이데이터수집/저장/제공(참여치료)디지미(영국, 데이터 저장소) 다수의 기관들에 흩어져 있는 개인정보(①소셜, ②의료정보, ③금융데이터, ④헬스 및 피트니스, ⑤음악 및 영상)를 한 곳에 수집한 뒤 필요한 정보를 건강·금융 등 관련 서비스 회사들에게 제공발리딕(미국, 헬스케어) 헬스케어 및 의료 앱, 가정용 의료기기에서 얻어진 의료·건강 데이터들을 단일 플랫폼 내에 통합 수집하여 의료기관은 물론 보험사, 제약사 등에게 제공피크닉헬스(미국.. 2025. 4. 20.
다시 한다면, 나는 어떻게 시작할 수 있을까 실패 이후에도 나는 여전히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물었다.“다시 창업하면, 이번엔 어떻게 할 건가요?”처음엔 대답하지 못했다.그리고 지금도, 자신 있게 답할 수는 없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그 질문은 결국 내 안으로 들어왔다. 다시 한다면, 나는 진짜 다르게 할 수 있을까?이제는 그 답을 어설프게라도 꺼내야 할 때라고 느낀다. 1. 시장보다, 움직이는 사람을 본다이전에는 시장을 봤다.크기, 경쟁자, 기회, 유통 구조. 하지만 실패하고 나서야 알게 됐다.시장 크기가 아니라, 시장 안에서 움직이는 ‘사람’이 중요했다.누가, 왜, 언제, 무엇 때문에 반응하는지를 봐야 했다. 다시 시작한다면,시장보다 사람을 먼저 읽을 것이다. 2. 브랜드보다, '관여의 이유'를 묻는다브랜드를 만들고 싶었다.예쁘.. 2025. 4. 20.
준비 말고, 작은 실행부터 시작한다 검증은 지인이 아니라, 진짜 시장에게 받아야 한다. 실패를 겪고 나서나는 오래 생각했다. "다시 시작한다면,어디서부터 어떻게 움직여야 할까?" 그리고 결국, 하나의 결론에 도달했다. 준비로는 현실을 이길 수 없다. 하지만 준비 없는 확장 역시결국은 스스로를 무너뜨린다. 1. 빠르게 실행한 것은 잘했다처음 아동복 사업을 시작할 때,나는 완벽한 준비를 기다리지 않았다. 시장 조사를 병행하며여러 나라에서 생산 공장을 찾았다. 테스트 제품(MVP)을 빠르게 만들기 위해,최소한의 수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확보했고,짧은 기간 안에 첫 제품을 만들어냈다. 완벽한 제품이 아니었지만,시장을 직접 부딪히며 반응을 확인하기 위한 최소한의 형태를 갖췄다. 생각만 하면서 시간을 보내지 않고,실제로 움직였다는 점.이 실행.. 2025. 4. 20.
그럴듯했던 계획, 현실 앞에서 무너졌다 아동복 사업이 실패한 세 가지 이유 1편을 올리고 나서 많은 말을 들었다.“진행님 같은 사람도 망할 수 있어요?”“계획이 그렇게 탄탄했는데 왜요?”“저도 비슷한 경험 있어요.” 그 질문들을 천천히 되새기다가,이 글을 쓰기로 했다.실패의 본질은 계획이 아니라, 착각에 있었다는 걸 이제는 말할 수 있다. 1. 한국에서 통했던 모델, 싱가포르에서는 달랐다 내가 만든 아동복 브랜드는한국에서 ‘인스타 브랜드’라 불리는 시장 모델을 참고했다.온라인 판매 기반이지만, 감도 있는 사진과합리적인 가격, 괜찮은 디자인과 품질로 승부하는 방식이었다. 싱가포르에서도 가능할 거라 생각했다.시장 조사도 했고, 비슷한 브랜드들도 찾아봤다.중국 감성의 중고가 브랜드가 있었는데,디자인이나 품질은 우리가 낫다고 판단했다.이 정도면 해.. 2025. 4. 18.